성장할 기업&브랜드

노르웨이는 어떻게 전기차 보급률이 97.4%일까? 어떤 정책들을 지원했는가?

영수증 연구소 2025. 8. 1. 14:21
728x90
반응형

 

 

글로벌 전기차 보급율?

전세계 신차판매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4년 기준 20~22% 수준입니다.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기준으로는 22%까지 올라온 것으로 발표를 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전기차 보급이 떨어지는 현상이 보이고 있기도 합니다. 2022년 전기차 전년대비 성장률은 약 47% 수준이었으나, 23년에는 29.7%, 24년에는 22%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블룸버그는 27년까지 전기차 비중이 33%, 2040년에는 73%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전기차 시대로의 전환에서 캐즘 현상으로 초기에 비해서 다소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는 전기차(BEV+PHEV) 비중이 25년 상반기 기준 92.7%까지 달했으며, 24년 기준으로 BEV(Battery Electric Vehicle, 배터리 전기차) 88.9%,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2.7%로 전기차 비중이 91.6%까지 성장한 상황입니다. 25년 4월 한달 기준으로만 보면, BEV(Battery Electric Vehicle, 배터리 전기차)가 97% 수준으로 신차 판매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수치만 보면, 실제 노르웨이는 거의 100% BEV 전기차 구매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노르웨이는 전세계 어느 국가보다 빠르게 전기차 전환을 달성하고 있는 국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국이 신차 기준 전기차가 41~44% 수준이며, 유럽은 25~30% 수준입니다. 미국은 약 10% 수준인 것으로 비교해보면 다른 어떤 나라보다 전기차 전환이 노르웨이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노르웨이는 어떻게 빠른 전기차 전환을 만들었을까?

 

노르웨이는 전기차가 없던 시절부터 전기차를 위한 정책을 준비해온 나라입니다. 이미 1990년대 초반부터, 향후 전기차 시대를 대비해 아래와 같은 제도를 하나씩 도입했는데요. 당시는 본격적인 전기차 상용화가 되지는 않았지만, 정책적인 준비를 미리 준비해 온 국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08년부터 2011년에는 판매된 Think City라는 초창기 전기차는 노르웨이 Think Global사가 만든 소형 전기 해치백 모델이었습니다. 당시 2500대가 생산되고, 노르웨이에 1,120대가 등록되었다고 조사가 됩니다. 그리고 버디(Buddy)라는 소형차도 있었습니다. 

 

원래는 덴마크 브랜드인 케웨트(Kewet)는 소형 전기차였지만, 이를 노르웨이의 Elbil Norge사가 인수해 2005년부터 본격 생산에 나섰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3인승 모델로 최대 속도는 시속 80km,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는 50~80km에 불과했지만,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착한 모델은 최대 150km까지 달릴 수 있었다고 합니다. 2007년 기준으로는 노르웨이 EV 전체의 20%가 버디(Buddy) 혹은 케웨트(Kewet) 모델이었을 정도로 대중적 인기를 끌었는데요. 2013년까지 누적 판매량은 1,500대를 넘겼다고 합니다. 지금 보면 다소 불편하고 좋은 차라고 할 수 없겠지만, 버디는 노르웨이에서 전기차를 특별한 기술이 아닌, 누구나 탈 수 있는 일상적인 이동수단으로 인식하게 만든 중요한 파일럿 모델로 평가를 받기도 했습니다. 노르웨이가 다른 국가에 비해 다른 점이라면, 빠르게 도심용 실차량 EV를 상용화하긴 했습니다. 그러다보니, 현재 전기차에 대한 수용성이 다른 국가에 비해 빠르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는 요인이기도 할 것입니다.

 

 

 

 

노르웨이 Think Global사, Think City 전기차(2008)
노르웨이의 Elbil Norge사, 버디(Buddy)

 

 

 

전기차 전환을 일찍부터 준비한 노르웨이는 실제 다양한 혜택을 제공했는데요. 1990년대부터 시작된 장기적이고 일관된 정책이 유지되었다는 점이 다른 국가와 차이라고 할 것입니다. 1990년에는 전기차에 대한 등록세 면제를 시작했으며, 1996년에는 유료도로 통행료를 면제해주었고, 1997년부터는 차량 구매 시 적용되는 25%의 부가가치세(VAT)를 전기차에 한해서 면제를 해주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1999년에는 공영주차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했고, 2003년에는 버스전용차로 진입을 허용해 출퇴근 시간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기도 했는데요. 결국 이런 혜택들은 단순한 금전적 지원을 넘어, 전기차를 실생활에서 훨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생활 기반형 인센티브를 제공한 정책들이 이러한 전기차 전환을 용이하게 해주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2020년대에 들어서면서도 이러한 흐름은 계속 되고 있는데요. 노르웨이 정부는 여전히 전기차 구매 시 부가세 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중·저가 전기차에는 각종 세제 혜택이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급속 충전 인프라 확충, 주거지 내 충전시설 설치 의무화, 공공기관 차량의 전면 전기차 전환 등 보다 구조적인 정책이 병행되고 있습니다. 노르웨이는 내연기관차에 있어서 신차 가격의 40~60% 정도이며, 모든 소비세는 25%를 적용하고 있는데, 역시 전기차는 이러한 세액 면제를 해주고 있다보니, 더욱 전기차로의 전환을 빠르게 만들기도 했다고 볼 수 있겠네요. 물론 모든 전기차에 세액 면제가 되는 것은 아니고, 2023년부터는 차량 가격이 50만 크로네(약 6,500만 원)를 초과하는 고급 전기차에 한해 초과 금액에 대해 부가세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전기차 차량 구매시 보조금을 지급하는 다른 국가와는 다르게 세제 해택 중심으로 정책을 시행해 왔습니다. 또한 연간 자동차 역시 전기차는 면제 또는 감면 혜택까지 주고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고급 전기차보다는 테슬라 모델Y가 1위로 14~16.5%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Toyota bZ4X, 폭스바겐 ID.4, ID.3 등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 모든 조치는 단기적인 보조금이 아니라 생활 속 비용 구조를 바꿔주는 설계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내연기관차보다는 전기차는 합리적인 선택으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사진: Unsplash 의 Ernie Journeys

 

 

 

 

환경에 진심인 노르웨이 시민의식

노르웨이 전기차 확산에서 또 다른 이유라면, 노르웨이 국민들의 높은 환경 의식과 공동체 책임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노르웨이 국민들은 탄소 배출이 개인의 책임으로 인식하는 문화가 강하다고 합니다. 그렇다보니 자발적으로 친환경 소비를 선택하는 경향이 강하기도 하다고 합니다. 전기차 초기 보급 시기인 2000년대 초반을 살펴보면, 실제 전기차는 주행거리나 속도, 내구성 면에서도 만족스럽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수 시민들이 환경 보호라는 가치에 공감을 하며, 기꺼이 불편을 감수하고 전기차를 구매했다는 점은 전기차는 여전히 불편하다는 의식이 아직도 많은 지금과 비교해 볼때 환경에 대한 가치를 우선시 하고 있는 시민 의식이 깊게 자리 잡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공공 충전소 공유, 충전 후 차량 이동 등의 규범 등을 잘 지키면서, 상호간에 신뢰를 형성하기도 했습니다. 충전기 등 공공 인프라를 훼손하지 않고, 서로 간에 이용을 배려한 점도 안정적으로 충전 인프라가 유지될 수 있었던 원인이기도 할 것입니다. 노르웨이의 전기차 전환에서 전기차는 기술이 아닌, 사회적 합의에 가까운 시스템이 뒷받침 되면서, 시민의식이 보이지 않는 인프라로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북유럽 국가들은 전기차 전환이 빠를까?

노르웨이의 전기차 전환이 이미 된 것이라면, 북유럽 국가 중 핀란드, 아이슬란드는 어떤 상황인지 살펴보면, 차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아이슬란드는 23년 신차 등록 기준으로 전기차(BEV+PHEV)가 약 60%수준입니다. 그리고 핀란드는 23년 신차 등록 기준으로 전기차(BEV+PHEV)가 약 50~55% 수준입니다. 물론 글로벌 기준으로 아이슬란드, 핀란드는 상위권 수준의 보급률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긴 합니다. 북유럽 국가들은 친환경 가치를 중시하는 사회문화적 기반을 공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책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는데요. 노르웨이가 전기차 전환을 가장 빠르게 이룬 핵심은 단연  정책에 있다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내연차에는 최대 200% 등록세와 25% 부가세가 붙지만, 전기차의 경우는는 이 모든 세금이 면제시켜주면서,내연기관차 대비 가격 경쟁력이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세제 혜택 이외에 공영주차 무료, 버스전용차로 이용, 통행료 면제 같은 실질적 생활 혜택이 더해졌고, 무엇보다 이 정책들이 1990년대부터 20년 넘게 장기적으로 지속되면서 전기차 보급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성을 얻기도 했습니다. 




 

 우주를 향하는 기술이 아닌
지구를 향하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한화그룹 기업PR <우주사업>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