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62)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5년 대한민국 트렌드: 10대 키워드 및 요약 서울대 소비자학과 김난도 교수는 해마다 대한민국 트렌드를 통찰력있게 분석하고, 발견된 트렌드를 정리해서 발표하곤 합니다. 2025년에도 10개의 대한민국 트렌드를 키워드로 발표했는데요. 이에 대한 의미들과 예시를 간단히 살펴보면서, 올해 우리가 맞이할 트렌드에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옴니보어 (Omnivore)다양한 영역에서 관심을 가지며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는 다면적 소비자들을 뜻합니다. 이들은 특정 취향이나 카테고리에 얽매이지 않고 여러 문화를 유기적으로 소비합니다. 예를 들면, 평일에는 테크관련 세미나에 참여하고, 주말에는 로컬 푸드 시장을 탐방하며, 라이프스타일의 폭넓은 취향을 의미합니다. 과거에는 성별, 소득, 나이에 맞춰 소비하는 경향이 있었다면, 이제는 그 경.. 미래산업은 어디로 가는가? 키워드 중심으로 급변하고 있는 산업 패권시대에 직면하고 있는 요즘, 미래산업은 어떤 키워드를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지를 간단하게 정리하려고 합니다. 전통적인 제조산업이 디지털로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로 하는 과정 역시도 급속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기존 산업의 새로운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는 경우들도 살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최근 산업의 트렌드를 보면 모든 부분이 AI를 중심으로 변화하고 발전하고 준비하고 있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키워드를 중심으로 어떤 미래산업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는지를 키워드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완전자율주행(FSD)전통적인 자동차산업에서 모빌리티 산업으로 변화는 모터라는 엔진동력을 중심으로 변화할 .. 재규어(Jaguar)와 폴스타(Polestar) 리브랜딩(Re-Branding) 사례 전기차 전환을 위한 재규어(Jaguar) 사례인도 타타 모터스(Tata Motors)는 2008년 JLR(Jaguar Land Rover) 지분을 포드(Ford) 100%를 23억 달러에 인수하면서, 재규어와 랜드로버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타타 그룹은 인도에서 가장 큰 회사로 알려져 있는데, 자동차를 비롯해 철강, 화학,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에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기도 합니다. JLR은 타타 모터스의 100% 자회사이지만, 영국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디자인 및 생산 공정에서 그 동안 유지해 온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면서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로 여전히 지휘를 유지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번에 전기차로 대전환을 목표로 재규어는 대대적인 리브랜딩(Re-Branding)을 .. 장기 투자와 단기 투자의 차이: 애플 주식과 복리의 마법 투자의 구루(Guru)인 워런 버핏(Warren Buffett)의 투자 명언 중 하나인, ‘좋은 기업의 주식을 싸게 사라, 그리고 오래 보유하라’는 말은 장기투자에 대한 중요성을 의미하는 부분일 것입니다. 그러나 좋은 기업을 찾는 것도 어렵고, 좋은 기업이라고 할지라도 기업의 경영이 언제나 장미빛 성장을 하는 하는 것은 아니기에 오래동안 보유한다는 것도 참으로 어려운 일이기 할 것입니다. 단순한 말임에도 어렵고, 어렵기 때문에 누구나 투자에서 성공을 하는 것도 쉽지 않은 것이 어찌보면 순리이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드네요. 장기투자와 단기투자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서 예를 들어서, 어떤 결과를 얻게 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익실현은 언제나 옳다는 맞는 말입니다. 짧게 투자를 했을지도 수익을 얻었다면,.. 화폐에 대한 질문: 돈, 노동자의 동기부여를 위한 발명품 요즘 들어서, 사회적으로 돈을 쫓는 열망이 지나치게 강한 분위기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코로나를 거치며, 집이라는 공간에 대한 열망이 결국 부동산으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전세계에서 가계부채가 가장 많은 국가에 대한민국이 있다는 기사도 이제 놀랍지 않은 뉴스가 되어버린 상황입니다. 그리고 돈을 쫓아 동학개미에서 서학개미로 행렬을 바꾸고, 미국 주식에 투자를 하며, 비트코인까지 참으로 돈을 쫒는 사회가 되어버리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돈에 부족함이 없이 살고 싶은 마음 역시 당연한 것이겠지만, 한편으로는 각자도생이라는 말과 함께 개인주의 사고와 자본을 쫓아가는 분위기가 팽배해져가고 있지 않나 싶기도 하네요. 화폐란 무엇인가?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돈, 화폐는 놀라운 발명품입니다. 물건과 물건을 직접 교환하던 .. 피터 틸(Peter Thiel) “경쟁하지 말고, 독점하라”를 생각해보기 제로 투 원(Zero to One)의 저자이자, 페이팔 창업자인 피터 틸이 자주 언급하는 말 중에 “경쟁하지 말고, 독점하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팔린티어 설립자이기도 한 피터 틸(Peter Thiel)은 기업가들이 기존 시장에 얽매이지 말고, 새로운 시장을 창조하여 독점적인 위치를 확보하는 전략을 강조하는데요. 트위터에서 우연히 보게 된 그의 글을 간단하게 요약해 보고, 한번 다시 생각해 볼까 합니다. Competition is for Losers Peter Thiel 독점의 가치:독점은 기업이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하며, 경쟁은 이익을 줄입니다.사업을 시작할 때 독점을 목표로 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사업 유형:시장을 두 가지로 분류합니다: 완전 경쟁과 독점.독점적인 기업은.. 챗GPT와 팔란티어 온톨로지 차이점: 팔란티어 이해하기(2) 오픈AI가 챗GPT를 공개하면서, AI는 역사에 큰 전환점을 마련한 사건일 것입니다.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라고 단어적으로 이해를 하면 쉬울 것 같은데요. 란 자연어 처리를 통한 모델 아키텍처입니다. 그리고 미리 학습된이라는 부분은 LLM(Large Language Models)이라는 거대언어모델을 학습한 부분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생성형이라는 의미는 AI 분야에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내거나 창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는 부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생성형이라는 것은 향후 수많은 다양한 능력을 가진 AI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인류는 이제 거대한 AI시대의 앞에 서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 달리고 싶은 자동차와 디바이스로 변화하는 자동차 자동차 산업이 점차적으로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 자동차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중요한 변화의 시점이 지금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전기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앞선 기업인 테슬라는 2024 라는 행사를 통해 완전자율주행(FSD) 차량인인 사이버캡(Cybercab), 로보밴(Robovan)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눈길을 끌었던 사이버캡은 2인승으로 운전대, 페달이 없이 기존 테슬라에서 볼 수 있었던 스크린만 존재를 했습니다. 마치 영화에서 보았던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를 선보이고 전세계에 주목을 끌었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내년부터 로보택시 사업을 시작하겠다고 밝히며, 감독이 필요없는 완전자율주행(FSD)를 모델3, 모델Y에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감독당국의 허가를 받아서, 2026년부터 판매가 3만.. CP컴퍼니(CP Company)와 스톤아일랜드(Stone Island), 텐씨(TEN-C): 실험적인 혁신적인 패션 브랜드 CP컴퍼니(CP Company)와 스톤아일랜드(Stone Island)는 고유의 실험적 디자인과 독창적인 소재 활용으로 하는 이탈리아하이테크 패션 브랜드입니다. 두 브랜드는 모두 마시모 오스티(Massimo Osti)라 패션션 디자이너가 설립했으며, 실용적이면서도 혁신적인 디자인을 통해 독특한 브랜드 정체성을 만들어 왔습니다. CP컴퍼니와 스톤아일랜드는 각각의 방향성에 따라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성장해 온 브랜드이기도 합니다. CP컴퍼니: 기능성과 클래식 밀리터리 스타일의 결합CP컴퍼니는 1971년에 설립되어, 주로 밀리터리 의류와 워크웨어에서 영감을 얻은 디자인으로 유명한데요. 무엇보다 실용성을 중시하는 디자인 철학을 가지고 있으며, 디테일 하나하나가 기능적이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준다고 .. 디토소비를 통해 본 현상과 본질: 트렌드는 따라가는 것이 아닌 이해하는 것 디토 (Ditto) 소비는 무엇일까? 디토(Ditto)는 라틴어로 '나도'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이 구매한 제품을 따라 사는 소비 행태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항상 유행, 트렌드라는 말은 늘 존재해 왔지만, 요즘 유행은 과거에 비해 주기가 더욱 짧아지고, SNS로 인해 파급력과 전파속도 역시 강해진 것도 사실입니다. 상품을 구매하는 행위를 복잡한 의사결정의 과정이라고 설명하는 이론도 맞지만, 요즘의 소비 트렌드 중에 디토소비는 이런 복잡한 절차를 생략하고, 누군가의 소비를 따라서 묻고 따지지도 않고 그대로 따라서 구매하는 행동도 발견되고 있다고 하네요. 어떤 제품인지가 중요했다면, 누가 사용한 제품인지가 더 중요하게 소비 과정에서 작동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이 또한 팬덤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던 소.. 이전 1 2 3 4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