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84) 썸네일형 리스트형 테슬라는 자율주행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을까? : 테슬라의 자율주행 접근 방식 자율주행의 대서막: 로보택시자율주행 기술은 더 이상 미래의 공상에 머무르지 않고, 이미 현실 속으로 깊숙이 들어와 있습니다. 현재 자율주행 기술은 총 6단계(Level 0~5)로 구분되는데요. 레벨 0은 운전자가 모든 것을 제어하는 상태이고, 레벨 2는 차량이 조향 및 가속·감속을 지원하지만 운전자가 상황을 항상 주시해야 하는 단계입니다. 레벨 3부터는 조건부 자율주행으로 차량이 일부 상황에서 스스로 판단하고 운행할 수 있으며, 레벨 4는 특정 지역이나 조건에서 운전자의 개입 없이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한 수준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인 레벨 5는 장소나 조건에 관계없이 전면적인 무인 자율주행을 의미합니다. 테슬라를 현재 레벨 2단계에 있는데요. 이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수준으로, 차량이 조향.. MBTI는 누가 개발했을까? MBTI는 심리언어 MBTI는 전문 심리학자가 아닌 캐서린 쿡 브릭스(Katharine Cook Briggs)와 그녀의 딸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Isabel Briggs Myers)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그래서 MBTI는 Myers(딸)-Briggs(어머니) Type Indicator의 약자이기도 합니다. MBTI가 개발된 일화는 재미가 있는 부분이 있는데요. 캐서린은 딸의 남편이 될 사람을 잘 이해하고 싶다는 소박한 이유로 성격에 대한 관찰을 시작했고, 이것이 심리를 분류하는 방법으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칼 융(Carl Gustav Jung)의 심리유형 이론을 접하고, 연구하는 것은 어머니 캐서린 쿡 브릭스입니다. 그리고 지금 우리가 아는 MBTI테스트의 형태, 실제 검사 도구를 만든 사람은 딸,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 냉장고에는 왜 항상 먹지 않은 음식이 있을까? 냉장고를 채운 심리 전세계 냉장고 출하량은 2024년 기준으로 2억 5천만대(가정용+상업용 포함)이고, 시장 규모로는 약 1,300억달러(한화 170억원) 수준이라고 하는데요. 이제는 모든 가정에서 냉장고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실제 냉장고의 대중화는 1927년, GE가 이라는 대중형 냉장고가 출시되면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중산층의 급성장과 함께 월풀(Whirlpool), 프리지데어(Frigidaire)같은 브랜드들이 등장하면서, 본격적인 대중화를 맞게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삼성, LG 냉장고 브랜드도 세계 시장에서 높은 판매량을 보이면서, 백색가전 시장에서 위상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냉장고라는 것은 차가운 온도를 통해 음식을 오랫동안 보관하는 용도로 사.. 블랙록과 래리 핑크: 세계 1위 자산운용사, 투자회사 블랙록(BlackRock)은 S&P500의 97.5%를 소유한 회사입니다. 이 사실 하나만으로도 블랙록이 얼마나 거대한 자산운용사인지를 실감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워렌 버핏이 가장 추천하는 S&P500을 이렇게 많이 소유한 회사, 블랙록과 공동 창업주이자 현재 회장 겸 최고경영자를 맡고 있는 래리 핑크(Larry Fink)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패의 교훈으로 세워진 블랙록래리 핑크는 처음부터 월가의 제왕을 꿈꾸진 않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정치학을 전공하고, 이후에 하버드 MBA를 마친 그는 월가보다는 공공 분야에 관심이 많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는 1976년 투자은행 퍼스트 보스턴(First Boston)에 입사하면서 금융인으로서 커리어를 시작하게.. 니치 인기 향수 브랜드: 낯선 여자에게서 그의 향기를 느낀 이유 목욕대신 향수를 뿌리는 귀족문화향수는 보이지 않는 패션이라 불리우기도 합니다. 이는 향수에 대한 역사에서도 이해가 가는 부분이 있는데요. 향수는 향기를 입는다는 개념보다 먼저, 신에게 바친다는 의례에서 시작됐습니다. 연기를 통해 신과 소통한다는 의미의 라틴어 퍼퓸(per fumum)이 그 어원입니다. 라틴어 per fumum은 에서 연기를 통해서 라는 뜻으로 고대 이집트, 바빌로니아, 인도 등 문명 초기부터 향은 종교 의식, 제례, 장례의 필수 요소였습니다. 향나무, 몰약, 유향 등을 태우는 행위는 신에게 정결함을 바치는 행위였고, 인간과 신을 연결하는 상징적 행위였습니다. 그리고 중세 유럽 시대에는 긴 흑사병의 시기를 겪으며, 냄새에 대해 강한 공포심이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당시 사람들은 ..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 피해를 막기 위해 당장 해야 할 일들 2024년 4월 기준 SK텔레콤 가입자는 약 2,400만명입니다. 이번 유심(USIM) 해킹 사건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가입자 수는 정확히 공개되지 않았으나, 현재까지 약 23만 명이 유심을 교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개인정보 유출을 넘어서, 유심을 통해 스마트폰에 담긴 각종 금융 정보까지 넘어갔다는 측면에서 매우 위험한 사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SK텔레콤 통신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가입자 역시도 유심 해킹을 당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서, 앞으로 이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유심(USIM): 보이지 않는 열쇠유심(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은 통신사와 이용자 간 인증을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 셰일가스 혁명이 불러온 전세계 지각변동: 미국의 에너지 패권 전쟁 셰일가스가 혁명인 이유한때는 개발비용이 높고 비효율적이라는 이유로 외면받던 셰일가스(Shale Gas)는 단단한 점판암 속에 갇혀 있는 천연가스입니다. 일반적인 천연가스는 지층에 저수지처럼 모여있는 것에 반해, 셰일(shale)이라는 단단한 암석층 속에 가스가 작고 얇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 바로 셰일가스입니다. 쉽게 시추가 가능한 천연가스에 비해서 시추도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외면을 받았던 것입니다. 그러나 수압파쇄(hydraulic fracturing)와 수평시추(horizontal drilling)라는 기술혁신 덕분에 미국은 세계 최대 천연가스 생산국으로 탈바꿈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로 2000년대 후반의 일이며, 이른바 셰일 혁명이라고 불리웁니다. 에너지 수입국이었던 미국이 에너.. 딥시크(DeepSeek)가 촉발한 AI산업의 변화: 딥시크를 주목하는 이유 딥시크(DeepSeek)는 2023년 중국 AI 스타트업 Moonshot AI(문샷 AI)가 개발한 모델입니다. 창업자는 량원펑(Liang Wenfeng)으로, 전 퀀트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High-Flyer) CEO 출신입니다. 고비용 AI의 한계를 깨기 위해, 누구나 접근 가능한 오픈소스 AI 개발을 목표로 창업했습니다. 량원펑은 중국 칭화대에서 수학, 컴퓨터 과학 계열을 전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공식적인 부분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긴 합니다. 퀀트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의 공동 창업자였던 그는 인공지능이 금융보다 훨씬 더 큰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AI는 소수의 대기업이 독점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2023년 AI 스타트업 문샷 AI(Moonshot AI).. 배달의민족의 성장과 직면한 문제점: 대안이 있다면, 시장은 변한다 배달 문화를 만든 배달의민족배달의민족은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기준으로 무려 2,243만명이 이용하는 슈퍼앱 중 하나입니다. 24년 기준으로 매출은 4조 3,226억원, 영업이익은 6,408억으로 조사가 됩니다. 구독제 서비스 배민클럽을 유료화한 이후 시장 점유율에서는 59.6%로 22년 이후 61~62%를 유지하던 수준에서는 다소 떨어졌지만, 배달앱에서는 단연 1위를 지키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편 쿠팡이츠는 24년 12월 기준으로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963만명으로 배달의민족을 맹추격하고 있기도 합니다. 쿠팡이츠는 시장점유율이 26%로 성장하면서, 곧 1000만명 월간 활성 이용자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2010년, 디자이너 출신의 김봉진 대표는 전단지로 가득한 배달 시장에 .. 모두의질문Q: 질문이 바뀌면, 세상이 바뀐다 생성형 AI 중 하나인 챗GPT가 등장을 하면서, AI산업에 대한 관심과 빅테크들의 엄청난 비용투자를 하게 되면서 새로운 산업혁명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는 요즘입니다. 혁신에 대한 사전적인 의미가 있지만, 혁신의 기준은 인간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느냐에 대한 질문에서 판단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데요. 이번 챗GPT를 혁신으로 보는 이유는 그 동안 검색(Search)라는 행동을 질문(Ask)로 변화시키고 있다는 점입니다. 질문이 없으면, 답을 찾을 수 없듯이 질문의 시작이 모든 변화의 시작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이번에 박태웅 의장을 중심으로 민주당에서 하고 있는 라는 시도는 매우 참신한 시도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네이버와 같은 회사에서나 해볼만한 프로젝트를 정치권에서 시도했다는 부분에서 .. 이전 1 2 3 4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