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뜨는 브랜드&트렌드 (81) 썸네일형 리스트형 안경계의 에르메스: 린드버그(LINDBERG) 티타늄 안경테 종류 안경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들어 본 덴마크 브랜드가 린드버그(LINDBERG)입니다. 1.9g 티타늄 소재로 세상에서 가장 가볍고 편한 안경테로 유명한 린드버그는 장인정신과 미니멀한 디자인으로 꾸준히 사랑받은 브랜드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1984년 덴마크 포율 예른 린베르와 그의 아들이자 건축자 헨릭 린베르가 창업한 브랜드로 고객의 선호에 맞춘 수작업과 커스터마이징으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는 마이키타(MYKITA)안경을 쓰고 있는데요. 마이키타 안경테를 처음 착용했을 때, 그 동안 내가 쓴 안경이 이렇게 무거웠나라는 생각을 갖게할만큼 가볍고 편안했습니다. 린드버그 역시 착용감에서 오는 가벼움이 가장 큰 매력일꺼 생각됩니다. 그리고 명품처럼 모든 제품에는 고유 제품 번호를 가.. 셀럽들의 오디오&스피커: 브리온베가(Brionvega) 요즘 셀럽들이 선택한 오디오 브랜드로 브리온베가(Brionvega)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인테리어를 위해서 고민하는 경우도 있고, 고가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기도 하고, 셀럽들의 집에 있다는 점에서도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데이비스 보위, 제니, 캔달 제너 등의 셀럽들의 공간에 브리온베가의 라디오포노그라포(Radiofonografo) 있는 사진들이 눈에 띄면서 더욱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 같습니다. 브리온베가가 1960년대 만들었던 제품들을 다시 만날 수 있다는 점은 산업 디자인 측면에서는 좋은 디자인이라는 무엇인지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해서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브리온베가라는 브랜드에 대해서 살펴볼까 합니다. Classic. Iconi.. 주4일제 과연 가능할까? 6개월째 주4일제 요즘 주4.5일 또는 주4일로 근무하는 일부 기업들이 보이기 시작을 했습니다. 코로나19이후 자택근무가 활성화된 원인도 있겠지만, 워라벨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라이프스타일이 대세로 자리를 잡다보니, 점차 주4일에 4.5일을 시작하는 기업들도 조금씩 늘어가지 않을까 기대가 됩니다. 주5일제는 어떻게 시작이 되었을까? 지금은 주5일제가 일반적으로 자리를 잡았지만, 주5일제를 시행하기까지는 참으로 많은 논란이 있었습니다. 잠깐 그 시작을 살펴보면, 법정 노동시간은 1953년 근로기준법을 기준으로 당시 1일 8시간으로 주6일제(주48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때만 해 주6일 근무에도 초과근무가 늘상이었던 시절이기도 했습니다. 장시간 근로로 인해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1989년 정부는 주.. 금융을 재정의하는 토스: 토스뱅크 재미있는 적금 대한민국 핀테크 스타트업 중 가장 주목할 기업이라면 토스라고 알려진 비바리퍼블리카입니다. 이번에 토스페이먼츠에서 애플페이 온라인 결제 부분을 맡아서 한다는 소식을 들었는데요. 애플이 가장 애플스러운 국내 핀테크 기업을 선택했다는 생각을 갖게 되기도 했습니다. 그 동안 토스는 보수적인 금융시장에서 어떤 혁신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는지를 좀 살펴보겠습니다. 금융은 지루한 산업이다얼마전에 한 경제 유튜브에 이야기가 생각이 나는데요. 금융은 지루한 산업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고객의 돈을 맡기고, 맡긴 돈을 가지고 채권, 대출, PF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 은행이긴 합니다. 하지만 은행의 수익창출도 따지고 보면, 일반 개인과 다르지 않습니다. 결국 얼마나 많은 위험(Risk)를 가지느냐에 따라 수익률의 .. 드.디.어 애플페이 상륙: 애플페이 사용처 작년부터 들어온다 안들어온다 말도 많았던 애플페이가 오늘부터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2014년 애플페이 출시 이후 8년만에 한국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과거 KT가 아이폰에 포문을 열어준 것처럼 이번에는 현대카드가 애플페이 국내 사용을 하게 만들었네요. 현대카드의 혁신적인 이미지와 애플페이의 선택은 잘 맞는 궁합이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글로벌 결제액 기준으로 비자(VISA)다음으로 2위가 바로 애플페이인데요. 3위 알리페이, 4위 마스터카드, 5위 구글페이, 6위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7위 페이팔, 8위 아마존페이, 9위 삼성페이로 애플페이는 결제액 기준으로 6조 달러 규모입니다. 이러한 애플페이가 한국 시장에 진출한다는 것만으로도 앞으로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의 경쟁이 치열해지지 않을까 예상을.. 뉴발란스(NEW BALANCE) 신발 숫자 넘버링(Numbering) 이해 뉴발란스는 나이키, 아디다스와는 다르게 신발에 이름이 모두 숫자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숫자로 신발을 구분해야 하는데, 인기있는 제품들은 쉽게 번호로 이해가 되기도 하지만 뉴발란스 신발의 전체를 구분하는 것이 다소 햇깔리는 경우들이 많아서, 뉴발란스 신발숫자로 어떻게 넘버링(Numbering)이 되고 있는지를 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리미엄 라인: MADE IN USA, MADE IN UK넘버링 구분에 앞서서 우선은 뉴발란스 신발은 미국, 영국에서 생산되는 라인이 있습니다. MADE IN USA & UK 메이드 라벨은 미국과 영국 내 최소 70% 이상의 노동력과 제조력이 들어갈 때 부여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대표적인 모델로는 992, 990, 991, 1300, 1500이 있.. 불황에 살아남는 기업: 1등 기업과 치킨게임 반복되는 경제 주기 2022년 3월 시작된 연준의 금리인상이 1년이 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3년 1월에는 연준의 금리인상이 멈출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주식 시장이 상승이 이어지고 있었던 상황이었으나, 소비자물가지수(CPI),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 전망치를 상회하면서 3월에도 기준금리 인상에 무게 더해지고 있습니다. 고용지표까지 1969년 이후 실업률 최저치를 기록하며 더욱 연준의 횡보에 촉각이 더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경기침체 없는 연착륙을 생각하는 연준의 시나리오에 맞게 미국 경제가 지켜낼지는 앞으로 더 지켜봐야 할 문제일 것 같습니다. 긴 역사의 과정에서 보면, 반복되는 불황, 그리고 경기침체에 어떤 시사점이 있을지 살펴볼까 합니다. 불황에 광고비를 늘리는 것이 맞을까? 과거 제일기.. CPU와 GPU의 차이를 통해 본 자율주행: 엔비디아(NVIDIA) 애플이 이끈 모바일 혁신이 있었다면, 앞으로는 인공지능(AI)으로 산업 혁신이 있지 않을까 예상이 됩니다. 최근 자율주행 등을 포함한 인공지능(AI)산업이 더욱 부각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특정한 산업이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가 중요합니다. 모바일 혁신을 만들기 위해서는 통신망이라는 필요했고, 최근 전기차로의 전환을 위해서도 충전소라는 인프라스트럭쳐를 준비하고 있기도 한데요. 이미 수많은 데이터들이 인프라스트럭쳐로 준비되어가고 있기에, 인공지능 산업은 더욱 앞으로 미래 산업을 이끌어 가지 않을까 기대가 됩니다. 이러한 인공지능 산업의 부각과 함께 GPU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와 같은 GPU 생산기업에 대한 관심도 더욱 높아지.. 종이 신문의 기회 : 언론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레거시 미디어(Legacy Media)는 Old Media라는 의미로 보면 될 것 같은데요. 최근에는 레거시 미디어라는 말을 많이들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오래된 전통 미디어라고 하면, TV, 신문, 라디오, 잡지 등이 있을 것입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이라는 모바일 혁신을 통해 디지털 사용량이 많아지면서 레거시 미디어들은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입니다. 특히 종이 신문의 경우 구독자들을 점점 잃어가고 있는 현실이며, 네이버, 다음의 포털 사이트에 마치 가판대처럼 헤드라인만을 보여주면서 클릭을 유도하고 있는 것이 지금의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종이 신문은 디지털로 대체되었지만, 여전히 포털 사이트를 빌려 쓰고 있는 임차인 같은 현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중 조중동이라는 3대.. 플랫폼(Platform)이란? 플랫폼의 이해와 플랫폼 기업의 조건 플랫폼(Platform)이라는 말이 몇년전부터 매우 자주 사용이 되곤 합니다. 최근에는 플랫폼 ETF라는 펀드상품까지도 출시가 되고 있습니다. 최근에 출시한 에셋플러스자산운용의 플랫폼 ETF를 보면 플랫폼에 대한 유형을 잘 정리해 둔 것으로 보여집니다. 단지 구글, 카카오, 페이스북 같은 빅테크 또는 인터넷 기업으로 국한하지 않고, 플랫폼이라는 개념에 따라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IP기반 플랫폼, 제조기반 플랫폼, 서비스기반 플랫폼, 융합형 플랫폼으로 정의하고 있네요. 그렇다면, 이러한 플랫폼이 기업에 요구하는 조건과 성공 조건은 무엇인지 생각해보겠습니다. 플랫폼을 정의하는 키워드: 협력과 상생 플랫폼의 사전적 의미로 보면, 기차를 타고 내리는 정거장이라는 공간적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