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4) 썸네일형 리스트형 테슬라의 ESS(Energy Storage System)는 어디까지 왔을까? “탄소제로는 미래의 산업 경쟁력” RE100은 Renewable Energy 100의 약자입니다. 2050년까지 기업에서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자는 국제적 기업간 협약 프로젝트입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략만을 사용하거나, 사용한 전력만큼 REC(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를 구매해야 하는 규약인데요. 2020년 12월 기준 전 세계 276개 기업이 가입했다고 합니다. 현재는 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진 협약이라서, 무역장벽까지 발생할지는 조금 지켜봐야 할 문제인 것 같습니다.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은 지구온난화 목표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협정으로 2015년 유엔 기구 변화 회의에서 채택되었습니다. 당시 회원국 195개국의 만장일치로 채택.. 아이폰14 프로보다 애플스러운 스마트폰 케이스: 케이스티파이(CASETiFY) 아이폰14 프로가 곧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고가의 스마트폰이다보니, 대부분 케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이제는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물론 애플에서도 정품 케이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디자인적으로만 보면서 평범해서 오히려 애플스럽지 않기도 하는데요. 가장 애플스러운 스마트폰 케이스는 단연 케이스티파이(CASETiFY)가 아닐까 합니다. 그 동안 해외의 수많은 셀럽이 사용하는 모습이 보여지면서 관심을 끌기도 했지만, 케이스티파이가 만들어가고 있는 브랜드의 개성과 제품의 품질이 소비자들에게 인정받으면서 더욱 인기를 얻고 있는게 먼저가 아닐까 합니다. 그리고 아이폰14 프로 출시에 맞게 케이스티파이도 아이폰 케이스를 출시를 했습니다. 특히 이번에 아이폰14 프로에 적용되는 바운스 케이스는 독자 개발한 EcoS.. 행동을 만드는 단어 "한잔해" 경제불황이 찾아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코로나19로 전세계가 함께 풀어버린 유동성 파티를 파티를 즐겼고, 파티에 대한 영수증이 날라오고 있는 것은 아닌지라는 불길한 기운이 드는 요즘입니다. 유동성 자금은 코인, 주식, 부동산으로 흘러들어가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가격이 올라갔습니다. 그리고 점차 화폐의 가치를 떨어지고, 인플레이션이라는 물가 상승을 맞이했습니다. 그리고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뿐만 아니라 각국의 중앙은행은 금리인상을 단행하기 시작했습니다. 불황을 맞이하는 소주 우리의 주머니 사정이 얇아지기 시작하면, 찾기 시작하는 것 중 하나가 소주가 아닐까 합니다. 경기 불황에 소주 판매량이 급증을 하기 시작한다고 하는데요.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답답한 마음을 풀고 싶은 사.. 반려동물을 위한 펫테크 제품에는 어떤 제품들이 있을까? 2020년 말 현재 반려동물을 기르는 ‘반려가구’는 604만 가구로 한국 전체 가구의 29.7%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한국인 4명 중 1명이 반려동물과 살아가고 있다고 하는데요. 지역별로 반려가구 분포 현황을 보면 서울 131만 가구, 경기/인천 196만 가구로 전체 반려가구의 절반 이상인 327만 가구(54.1%)가 서울, 수도권에 분표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반려동물 시장은 약 6조정도로 엄청나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이기도 합니다. 반려동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관심과 사랑뿐만 아니라, 비용 부담도 상당할텐데요. 그만큼 대한민국의 소득수준이 높아진 결과이지 않을까 합니다. 반려동물이 함께 살아가는 시대가 되다보니, 펫테크(Pet-tech)는 반려동물(Pet)과 기술(Technology)의 발전도 상당히.. 뻔하지는 않은 집만 소개하는 별집 부동산 집이라는 주거공간은 우리의 삶의 필수적인 공간입니다. 의식주라는 당장의 문제에 포함되는 영역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처럼 아파트가 인기 있는 나라도 없지 않은데요. 아파트는 사실 굉장히 효율성을 강조하는 공간입니다. 공동의 토지를 마련하고, 공동의 주거공간과 커뮤니티와 편의시설을 통해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주거 공간의 한 형태입니다. 아파트는 시작을 건축가에서 찾자면 르 꼬르뷔지(Le Corbusier)에 도미노 시스템 이론에서 탄생한 것입니다. 도미노 시스템을 적용하면 콘크리트와 기둥만으로 빠르게 대량으로 집을 생산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효율성을 가진 건축기법이었습니다.그리고 레고 블럭 같은 모듈을 통해 다양성과 확장성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개념이 건축에 적용된 것이 시점이 바우하우스 시대입니다. 르..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인기 비결은 평범함이다? 몇일전에 종영된 화재드라마 의 인기 비결은 무엇이었을까요? 드라마 우영우는 넷플릭스와 ENA(SKY TV)를 통해 방영이 되었습니다. ENA채널이 그 동안 방송을 한 이례로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습니다. 공중파나 CJENM이 아닌 채널에서 17.5%라는 시청률을 만들어 낸 것은 처음 있는 일이 아닌가 합니다. KT계열인 ENA에서 성공적인 드라마를 방송하면서, 비인기 케이블 채널이었던 ENA채널도 앞으로 오리지널 컨텐츠에 더욱 박차를 가하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ENA는 방영권을 가진 부분이고 실제로는 에이스토리에 KT스튜디오지니가 투자를 한 방식이긴 합니다. 우영우에 대한 지식재산권(IP)는 에이스토리가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에이스토리는 킹덤 제작사로 넷플릭스와 인연을 맺었다고 하네요. 마음의 부.. 요즘 전기차를 구매하려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음차로 전기차를 구매하려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22년 글로벌 소비자들이 향후 구매할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선호도에 대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순수 배터리 전기차를 구매하고자 하는 비중이 한국은 23%, 미국은 5%, 독일은 15%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재미있는 점은 중국이 가장 높은 순수 배터리 전기차 선호도를 보이고 있는데요. 가장 높은 17%입니다. 중국은 국가지원 산업으로 전기차 비중을 빠르게 늘려가서, 충전기 시설 확충, 그리고 니오 서비스 배터리 바스(BaaS : Battery as a Service)까지 국가주도로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많은 전기차 제조사 중 비야디(BYD), 웨이라이(NIO), 샤오펑이 최근 가장 큰 인기를 얻고 있다고 합니다. 전기차 구매 결정요인은 무엇일까?.. 애플페이 출시에 진입장벽은 무엇인가? 애플페이가 곧 한국에 들어올 예정인 것 같습니다.현대카드가 애플와 1년짜리 독점 게약을 체결해서 12월부터 전국 편의점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뉴스가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애플페이는 현재 세계 57개국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본도 2016년부터 사용이 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삼성페이가 많은 사용을 하고 있긴 합니다. 실제 삼성페이는 5%, 구글페이 3%, 애플페이 92%로 펠스네트워크 보고서에 따른 모바일 결제 서비스에서 애플페이 점유율은 압도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애플은 2014년 9월 NFC기반의 애플페이를 출시합니다. 스마트폰에 내장된 NFC를 통해 빠른 결제, 거래에 따른 고유 암호화를 통해 편리성과 보안성을 갖춘 간편 결제 서비스를 내놓게 되는데요. 21년 1분기 발표에 따르면, .. 해골마크 골프 브랜드 총정리 골프웨어 중에 요즘 인기를 얻고 있는 브랜드를 보면 해골 마크가 많이 보이곤 합니다. 그래서 해골 마크를 쓰고 있는 골프웨어 브랜드를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1. 지포어(G/FORE) 글로벌 패션그룹 리치몬트 그룹이 인수한 지포어는 LA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이너 마시모 지아눌리(Mossimo Giannulli)가 런칭한 골프 브랜드로 '파괴적인 럭셔리(Disruptive Luxury)'를 지향하는 브랜드입니다. 골프의 전통성을 존중하면서도 모던함을 추구하는 것이 지포어의 컨셉이라고 합니다. 지포어의 해골 마크는 주력으로 쓰이지는 않지만, 자주 발견할 수 있는 모티브입니다. 지포어 해골 마크는 골프티가 좌우로 적용되어 있습니다. 2. 마크앤로나(MARK&LONA)럭셔리 골프를 콘셉트로 프레피 펑크, 마.. 애플이 성공하는 법칙 모바일 혁명의 시작 2001년 10월 23일. 애플에 복귀한 스티브 잡스가 아이팟을 선보인 날입니다. 애플 컴퓨터 회사가 만든 휴대용 음악 재생기는 물론 세계최초도 아니었습니다. 지금 그 때를 생각해보면, 그 때가 바로 애플의 모바일 혁명의 시작점이라고 보는게 맞을 듯합니다. 당시 애플이 아이팟을 발표할 때, 이미 스마트폰을 염두해두고 먼저 아이팟을 소개했다고 합니다. 지금 생각보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가능성을 바라보면, 아이팟 시리즈를 소개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결국 애플이 항상 추구하는 그 다음(Next Step)인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고려하고 시작했다는 점은 당시에도 여전히 유효했던 애플만의 애플다운 접근이었다고 생각됩니다. 당시 아이팟이 등장했을 때, 세계 1위 한국의 MP3플레이어 ..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다음